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인 요즈음,
| |
* 10억만들기 출발은 장기주택마련저축 가입
| |
장기주택마련저축에 가입하면 3가지의 특별한 혜택을 받는다.
우선 금리가 높다. 3년제 가계우대정기적금 금리는 연 4%대이지만 장기주택마련저축은 연 5%를 지급한다. 둘째, 이자소득에 대해서 완전 비과세(이자에 대한 세율 16.5% 면제)가 적용된다. 가장 큰 혜택은 직장인의 경우에 연간불입액의 40%(최고 300만원)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매월 62만 5000원씩 1년동안 불입하면 300만원을 소득공제 받게 되는데, 본인의 급여수준에 따라서 다음해 1월 급여날에 29만원∼118만원이나 되는 많은 세금을 돌려 받을 수가 있다. 이런 여러가지 효과를 감안한다면 장기주택마련저축의 실질수익률은 다른 상품에 비해 2배 이상 높다. | |
* 단독세대주도 올해부터 소득공제 가능
| |
직장인이 장기주택마련저축에 가입해서 소득공제를 받을려면 지난해까지는 배우자
또는 부양가족이 있어야만 가능했다. 나홀로 세대를 구성하고 있는 단독세대주는 소득공제를 받을 수가 없었고, 결혼을 하거나 아니면 나이든 부모님이나 형제를 세대원으로 둬야만 했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단독세대주도 소득공제가 가능하도록 제도가 개편됐다. 따라서 신입사원이나 단독세대주도 장기주택마련저축을 가입해 ″세테크″ 상품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 |
* 최소한 3계좌 이상 중복가입하라
| |
한 사람이 장기주택마련저축을 여러 계좌에 가입할 수 있다.
| |
* 최소 1계좌는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로 가입하라
| |
예를들어 안전한 1번 통장에 매월 저축액의 70-80%, 주식에 투자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3번 통장에 20-30%의 비율로 꾸준히 투자하는 것이다. 물론 1번 통장과 3번 통장 불입액은 매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윽고 7년이 경과하면 1번과 3번 통장을 해지해서 내집마련자금이나 자녀결혼자금으로 활용을 한다. 만약 주식시장이 그동안 활황세를 보였다면 적립식펀드로 가입한 3번(장기주택마련 주식투자신탁) 통장의 수익률이 제법 짭짤할 것이다. 1번과 3번 통장을 모두 해지한 이후부터는 장롱속에 묵혀두었던 2번 통장을 꺼내 새롭게 저축을 시작한다. 2번 통장은 최초에 1만원만 가입한 이후 전혀 사용을 하지 않았지만 중도에 해지되지 않으며, 더 중요한 것은 이미 가입일로부터 7년이 경과됐기 때문에 언제 해지하더라도 앞에서 언급한 비과세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필요한 기간 동안 불입하면서 비과세와 소득공제 혜택을 누리고 적당한 시기에 해지를 해서 부부의 해외여행자금이나 노후자금으로 활용해도 되지 않을까. ″꿩먹고 알도 먹는″ 알짜 금융상품인 장기주택마련저축, 가입을 망설일 이유가 전혀 없다. 신분증과 최초 불입액 1만원 이상만 가지고 은행을 찾으면 된다. 은행에 따라서는 가입기간이 30∼50년인 장기주택마련저축도 판매하지만 7년만 지나면 아무런 불이익 없이 중도 해지가 가능하다. |
출처 : 마동의 잡동사니모음
글쓴이 : 마동 원글보기
메모 :
'Tomorr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석 이후 하반기 '稅테크'는 (0) | 2006.10.08 |
---|---|
금리 120%활용해 재테크하기 (0) | 2006.10.08 |
[스크랩] 꼭 한번 필독하시길.. (0) | 2006.10.05 |
목돈 ‘추석 상여금’ 이렇게 불리세요 (0) | 2006.09.30 |
[30대에 끝내는 내집마련 대작전]“술·옷값만 줄여도 절반 성공 카드社 다니지만 카드 하나뿐” (0) | 2006.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