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과 문재인

`작은 비석'엔 '대통령 노무현' 6글자만

CKwon 2009. 6. 29. 22:27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언에 남긴 `아주 작은 비석'의 형태와 그 곳에 새길 글귀가 정해졌다.

 

 

 

비석은 키가 낮고 널찍한 `너럭바위'에 `대통령 노무현'이라는 여섯글자만 새겨진다.
`고 노 전 대통령의 아주 작은 비석 건립위원회'는 29일 오후 유홍준 위원장(전 문화재청장) 명의로 낸 보도자료를 통해 "노 전 대통령이 유언으로 남긴 '아주 작은 비석'은 높이 40㎝ 정도의 키가 낮고 넓적한 너럭바위 형태의 자연석에 '대통령 노무현' 6글자만 새기기로 했다"고 밝혔다.

건립위는 "(이 비석에 새길) 글씨는 조계종 총무원장인 지관스님이 썼다"고 덧붙였다.
건립위는 또 "화장한 유골은 안장하되 봉분은 만들지 않겠다는 유족의 뜻에 따라 (유골은) 지하에 안치하고 지상에는 자연석을 얹어 봉분 겸 비석으로 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건립위는 "비석을 받치고 있는 강판 재질의 바닥에 노 전 대통령의 어록 중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는 글귀를 성공회대 석좌교수인 신영복 선생의 글씨로 새겨넣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건립위측은 "비석 바닥에 새겨지는 비문은 고인께서 서거하기 직전까지 한 순간도 포기하지 않았던 굳은 믿음 가운데 하나"라며 "이 어록은 고인이 여러 공식 비공식 석상에서 민주주의를 이야기할 때 누차 강조한 내용이며 민주주의 발전의 핵심가치로 역설한 대목"이라고 설명했다.

비석을 받치는 강판 주위는 넓고 얇은 형태의 박석(薄石)으로 정리된다고 건립위는 소개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